개발환경 세팅/VSCODE

[MAC] 1. VS코드 완전 삭제 후 재설치(BREW)

우상욱 2023. 12. 1. 23:38

VS 코드 삭제


 

먼저 기존의 환경이 설치된 분들을 위해 VSCODE를 완전히 지워줍니다.

1. 응용프로그램에서 VSCODE를 휴지통으로 옮긴 후에 휴지통을 비워줍니다. Finder를 활용하면 됩니다.

2. macOS에서 VSCode의 도우미(helper) 설정 파일인 com.microsoft.VSCode.helper.plist를 삭제합니다.

rm -fr ~/Library/Preferences/com.microsoft.VSCode.helper.plist

 

3. VSCode의 주 설정 파일인 com.microsoft.VSCode.plist를 삭제합니다.

rm -fr ~/Library/Preferences/com.microsoft.VSCode.plist

4. VSCode의 캐시 파일을 삭제합니다.

rm -fr ~/Library/Caches/com.microsoft.VSCode

 

5. VSCode의 ShipIt 관련 캐시 파일을 삭제합니다.

rm -fr ~/Library/Caches/com.microsoft.VSCode.ShipIt/

6. VSCode의 설정과 관련된 Application Support 디렉토리를 삭제합니다.

rm -fr ~/Library/Application\ Support/Code/

7. VSCode의 상태를 저장하는 디렉토리를 삭제합니다.

rm -fr ~/Library/Saved\ Application\ State/com.microsoft.VSCode.savedState/

8.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에서 VSCode 관련 디렉토리를 삭제합니다.

rm -fr ~/.vscode/

9. 사용자의  디렉토리에서 VSCode 확장(extension)들을 삭제합니다.

rm -fr ~/.vscode/extensions

 

VS 코드 재설치


brew 깔려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1. brew로 vscode 검색

brew search visual-studio-code

2. brew로 vscode 설치

brew install --cask visual-studio-code

3. brew clean up

homebrew가 패키지를 인식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캐시를 완전히 삭제 후 진행하면 됩니다.

이렇게 해줍니다.

brew cleanup

4. install vscode

brew install --cask visual-studio-code

성공적으로 설치 되었다면, 다음 세팅으로 넘어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