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데이터

프로젝트 회고록/[최종프로젝트]서울시 혼잡도 데이터를 활용한 안전·문화생활 통합 웹사이트

서울시 혼잡도 데이터를 활용한 안전·문화생활 통합 웹사이트

플레이데이터 최종프로젝트를 마치고 나서 쓰는 회고록입니다. 역할 별로 글을 다 쓰면 너무 길어질 것 같아서, 제 파트 위주로 게시합니다! 더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다면, 맨 하단에 git 주소를 참고해주세요! 1. 프로젝트 소개 서울시 발생 사고로 인한 혼잡도에 대한 관심 급증으로 인해서, 안전성과 여가·문화 생활을 결합한 종합 정보 제공 웹 서비스를 제공하고 싶었습니다. 따라서 저희 팀은 다양한 소스에서 온 데이터를 통합하고, 분석하고, 예측하는 일련의 과정을 웹서비스에 전부 담았습니다. (1) 팀원별 역할 우상욱(팀장) : 데이터엔지니어링 (1)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구축 (2) 맛집, 명소 데이터 크롤링 (3) Airflow 활용 운영 데이터 파이프라인 설계 및 구축 (4) Aws Lambda 활용..

일기

플레이데이터 데이터엔지니어링 트랙 완강 후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플레이데이터 엔지니어링 트랙 완강을 한 후기에 대해서 글을 써보겠습니닷.. 부트캠프에 가려고 마음 먹었을 때를 생각해보면, 수강 기간동안 정말 알차게 보냈지만, 이제 정말 시작이구나라는 마음입니다. 오늘은 6개월 동안의 기간 동안 제가 뭘 했는지, 그리고 어떤 생각들이 들었었는지 정리해보겠습니다. 12월(수강 전) 플레이데이터 데이터 엔지니어링 트랙 시작 사실 저는 데이터 전문 스타트업에서 약 8개월 간, 인턴 근무를 했었습니다. 데이터 분석팀이였지만, 데이터 분석 일보다는 데이터엔지니어링?이라고는 애매하지만, 데이터를 가공하고 정제, 크롤링하는 일들을 했었습니다. 예전에 SBA에서 창업육성팀에서도 6개월 정도 인턴을 해봤었는데, 데이터를 가공하면서 이렇게 재밌는 일을 하면서 돈을 번..

일기

데이터엔지니어링 트랙 5개월차 후기

일단 지난 3, 4월부터 해서 오늘까지 꽤 시간이 많이 지났습니다. 그 안에 많은 상황들이 있었고, 제가 목표했던 것들을 조정하기도 이뤄내기도 했습니다. 일단 저번에 올렸던 목표를 점검해보겠습니다. 알고리즘 스터디 CS 스터디(정처기 실기 준비)(가채점 결과는 합격) 빅데이터를 지탱하는 기술 책 리뷰(읽기만 했습니다,,) 데이터엔지니어링 키트 마무리 블로그 리뷰하기 일단 알고리즘 스터디는 전혀 하지 못했고, 정처기 실기 시험은 잘 마무리가 됐습니다. 그리고 프로그래머스에서 진행하는 데이터엔지니어링 키트 모두 완강했고, 공부하면서 블로그 리뷰도 마무리 했습니다. 사실 5월 달까지, 전부하진 못할거라고 생각했는데 그래도 중요한 우선 순위를 잘 두고 하나하나 잘 했던 것 같습니다. 마냥 데이터가 좋아서 이 길..

프로젝트 회고록/심장질환 AI 예측 머신러닝 프로젝트

심장질환 AI 예측 머신러닝 프로젝트 회고

두번째 미니 프로젝트를 마치고 나서 쓰는 회고록입니다. 3일 정도의 시간동안 무사히 기획한 방향대로 진행하고, 프로젝트 평가 1위를 할 수 있게 해준 병창님, 경목님 모두 고생하셨습니다! 1. 프로젝트 소개 심장질환 AI 예측 대중이 쉽게 접근 가능한 심장질환 판별 및 발생 확률 제공 웹사이트를 제작하겠다는 목적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데이터셋은 캐글의 Personal Key Indicators of Heart Disease 데이터를 활용해서, 다양한 머신러닝을 경험해보면서 웹사이트에 모델을 적용하는 방식으로 적용했습니다. https://www.kaggle.com/datasets/kamilpytlak/personal-key-indicators-of-heart-disease 진행기간 2023년 2월 ..

일기

데이터엔지니어링 트랙 2주차 후기

했던 생각들.. 이번 주는 파이썬 기초를 쭉 배우고, 예제 문제를 푸는 식으로 진행됐다. 중요한 부분이나, 몰랐던 부분은 블로그에 쭉 업데이트 중이다. 진짜 너무 재밌다... 특히 메모리를 쓰는 방식이나, 리스트 같은 객체들이 메모리를 어떤 방식으로 사용하는지, 함수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함수의 설명을 달아놓는 방법이라던지(doc), 함수의 인자를 어떻게 구성하는지에 대해서 배울 때는 수업시간이 짧다고 느낄 정도로 재밌게 들었다. 또 list comprehension의 속도 면에서의 장점이나, map 함수를 들었을 때는 과거에 개발했던 프로그램들을 생각해보면서, 내가 어떤 점들이 부족했는지 하나하나 채울 수 있었던 것 같다. 이 과정에서 가장 재밌게 했던 생각들은 빅데이터를 인덱스를 통해서 조작하는 과정이..

우상욱
'플레이데이터' 태그의 글 목록